트럼프는 이 미친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폭등을 연준 책임으로 떠넘기기 하면서 눈엣가시 같던 파월을 자르려고 벼르고 있죠. 그리고 트럼프가 파월을 자르는 순간 신뢰가 바닥에 떨어져서 미국에 투자된 자본들이 빠져나갈 것은 명확한 사실입니다.
만약이지만 파월이 짤리는 순간, 대통령이 월권하는 나라에 누가 투자하려고 하겠어요? 독재나 다름 없는데 말이죠. 그래서 연은 총재들이 나서서 연준의 독립성을 지켜야한다고 다들 나서서 발언하는 거죠.
최근의 상황을 보면 미국 내부에서부터 일어난 정치 경제적 대립이 상당히 많은데, 한번에 보기좋게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상원 의원들의 반발 : 공화당 상원의원 반응의 반응이 바뀌고 있다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트럼프를 지지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관세 정책에 대해 일부 비판과 우려도 있었어요. 특히 농업과 제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을 대표하는 상원의원들이 신중한 입장을 보였죠.
상원의원 수잔 콜린스의 입장
상원의원 수잔 콜린스(메인주)도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비판적이었지요. 그녀는 공화당 소속이지만 트럼프와 자주 다른 입장을 보여왔어요.
2025년 4월 상원 연설에서 “관세는 물가 상승을 일으키고, 가장 부담을 감당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타격을 준다”며 반대했어요.
메인주는 해산물 수출(특히 랍스터)이 중요한 주라, 캐나다와 중국의 보복 관세로 지역 경제가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컸기 때문에 그녀의 반대는 지역 이해관계와도 맞닿아 있죠.
척 그래슬리 (아이오와):
그래슬리는 4월 3일 민주당 상원의원 마리아 캔트웰과 함께 ‘2025년 무역 검토법(Trade Review Act of 2025)’을 발의했어요. 이 법안은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한 후 60일 내 의회 승인을 받도록 요구하며, 승인이 없으면 관세가 자동 철회되도록 설계됐어요.
그래슬리는 아이오와 농민들이 관세 보복으로 피해를 입을까 우려했지요.
미치 매코넬 (켄터키):
매코넬은 트럼프의 캐나다 관세를 막는 결의안에 찬성하며 당론을 깼어요. 그는 “광범위한 관세는 미국산 제품의 제조 비용을 높이고,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진다”며, 미국인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시기에 관세로 고통을 가중시켜선 안 된다고 했어요.
톰 틸리스 (노스캐롤라이나):
틸리스는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경고하며 CNN에서 “농민들이 파산 직전인데 시간이 없다”고 했어요. 그는 4월 11일 상원 청문회에서 트럼프의 무역 대표 제이미슨 그리어에게 “이게 잘못되면 누구 목을 조르나?”라며 관세 계획의 불확실성에 대해 강하게 따졌어요.
하지만 트럼프가 4월 9일 관세를 일부 유예하자 “불확실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긍정적 반응도 보였죠.
테드 크루즈 (텍사스):
크루즈는 4월 3일 Fox Business에서 “관세는 소비자 세금이며, 나는 미국 소비자 세금을 올리는 데 찬성하지 않는다”고 했어요. 다만 그는 관세가 단기적일 거라며 “글로벌 관세를 낮추는 레버리지로 사용되길 바란다”고 했죠.
존 쑨 (사우스다코타):
쑨은 관세가 특정 목표(예: 펜타닐 유입 감소)를 위한 것이라며 지지했지만, 장기적 영향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어요.
마크웨인 멀린 (오클라호마), 신시아 루미스 (와이오밍), 존 케네디 (루이지애나):
이들은 트럼프의 관세를 지지하며 “단기적 고통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 이득이 있다”고 했어요. 루미스는 “이미 일부 국가가 관세를 낮추겠다고 협상에 나섰다”며 긍정적 효과를 언급했지요. 케네디는 트럼프가 소비자 영향을 고려해 관세를 재검토할 거라고 믿는다고 했어요.
1-2) 당별 지지보다는, 자신이 속한 주의 입장에 따라 갈리는 관세 정책 지지 상황 분석
민주당: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관세가 물가 상승과 경제 불안정을 초래한다며 강하게 반대했어요. 특히 슈머와 캔트웰은 트럼프의 관세가 경제적 자해 행위라고 비판하며 의회 권한 강화를 주장했지요.
공화당: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트럼프를 지지하는 분위기가 강하지만, 농업과 제조업 중심 주를 대표하는 의원들(그래슬리, 틸리스 등)은 관세 보복으로 지역 경제가 타격받을까 우려했어요.
반면 멀린, 루미스 같은 의원들은 트럼프의 관세가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될 거라며 지지했지요. 공화당 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모습인듯?
2. 그렇다면 주 정부와 주지사들의 반응은? 뉴욕과 다른 주들의 반응을 자세히 알아보자.
2-1) 캘리포니아 주지사 개빈 뉴섬의 입장
앞서 말했듯, 캘리포니아는 2025년 4월 16일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어요. 뉴섬은 트럼프가 IEEPA를 남용해 관세를 부과했다고 주장하며, 이는 헌법상 의회 권한(관세 부과 권한)을 침해한다고 봤지요.
캘리포니아는 관세로 1,700억 달러의 수입세 부담이 예상돼서 강경 대응에 나선 거에요.
2-2) 다른 주정부들의 항의도 잇따라:
현재 자료 기준(2025년 4월 21일)으로 캘리포니아 외에 다른 주정부가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해 소송을 제기한 사례는 없어요.
뉴욕, 일리노이, 펜실베이니아, 미네소타, 미시간 등 민주당 주지사들이 관세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지만, 소송까지 이어지진 않았지요.
2-3) 관세 정책에 항의한 다른 주요 주지사들
뉴욕 (캐시 호컬 주지사)
뉴욕 주지사 캐시 호컬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어요. MSNBC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관세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세금 인상”이라며 “해방이 아니라 주와 전국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고 했지요. 뉴욕은 무역 의존도가 높은 주라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이 큰 문제로 다가왔을 거에요.
일리노이 (J.B. 프리츠커 주지사)
일리노이 주지사 J.B. 프리츠커는 관세 정책에 반대하며 멕시코시티와 경제 협력을 강화하려 했어요. 하지만 주정부가 독자적으로 외국 정부와 무역 협상을 할 법적 권한이 없어서 한계가 있었죠. 일리노이는 관세로 419억 달러의 수입세 부담이 예상되거든요.
펜실베이니아 (조시 샤피로 주지사)
조시 샤피로 주지사는 MSNBC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경제 정책은 펜실베이니아 주민들에게 더 힘들게 만들고 있다”며 관세를 ‘세금’으로 비판했어요.
미네소타 (팀 월즈 주지사)
팀 월즈 주지사는 MSNBC와 CNN(State of the Union)에서 “관세는 미국 경제에 자해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했어요. 특히 멕시코와 캐나다 같은 무역 파트너를 처벌하면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했지요.
미시간 (그레첸 휘트머 주지사)
그레첸 휘트머 주지사는 트럼프와 백악관에서 만난 후에도 관세 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지적했어요. 미시간은 제조업과 자동차 산업 중심 주라 공급망 혼란과 비용 증가가 큰 문제였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