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ED4

연준 금리인하 전망 : 연준이 돈줄을 죄는 이유는? 의도된 긴축과 중금리 기조 연준이 인플레를 잡는 것뿐 아니라, 달러 패권을 지키기 위해 QT 밀어붙였다? 이거 충분히 가능한 논리라고 생각됩니다. 며칠 사이에 파월이 구조적 매파로 돌변했잖아요. 제가 누누히 말씀드렸었죠? 연준의 금리인하 전망은 없을 거라고요. 이유는 인플레이션(물가) 때문입니다. 연준은 물가를 관리할 책임이 있어요. 그래서 단기채를 줄여서 긴축(QT)을 진행중이었던거죠. 다만, 단기채 발행량이 줄어서 유동성이 줄어서 시장이 돈이 돌지 않아 안그래도 쪼그라 든 판에, 관세까지 트럼프가 운운하니까 시장이 개 큰 충격을 받았단 거죠. 게다가 트럼프 2기 정부의 선 넘은 관세정책은 국제적인 유동성 위기를 불러왔고요. 안그래도 QT로 인해 시장에 유동성이 줄어서 쪼그라든 시장에 결정타를 먹인거지요. 미국 단기채 발행량.. 2025. 5. 17.
연준이 트럼프와 충돌하는 이유는? 사실 연준 입장에선 관세분쟁이 굉장히 짜증나는 상황이거든요! 연준 입장에선 물가를 관리해야 하는데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이렇게 무식하게 매기면, 물가가 다이렉트로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금리를 인하하는게 아니라 인상을 해야할 수도 있거든요. 금리 인하를 해야할 시점에, 쓸데 없이 관세 분쟁으로 물가를 오히려 올리고 있으니 연준이 머리가 아픈 겁니다. 그래서 연내 금리 인하를 한번도 안할 수도 있게 된 거죠. 이렇게 두 기관의 입장이 다르니, 정책이 충돌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트럼프는 자기가 싸지른 똥은 생각 안하고, 연준더러 똥치우라 하는 상황이니까 미치는 거죠. 이게 연은 입장에선 진짜 트럼프가 짜증나겠다 싶은 부분입니다 ㅋㅋㅋ 아니 원래 유럽 주식 종목 소개해 드리려고 했는데, 시국이 시국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시황 탭 혼자 달리네요. 기왕.. 2025. 4. 22.
파월풋은 기대 못하는데, 연준풋은 기대한다? 모순된 시장의 반응과 그 이유를 알아보자 ‘파월 풋’은 기대 못하면서 ‘연준 풋’은 기대한다는 게, 어딘가 앞뒤가 안맞죠? 말이 안되잖아요? 보스턴 연은 총재 수잔 콜린스의 발언이 시장에 희망을 불어넣어서 미 증시가 낙관론으로 반등한 건 맞는데, 뭔가 시장이 동력으로 삼기엔 조금 부족하기도 하거니와, 모순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죠. 그럼 이 상황 좀 더 깊이 파헤쳐보고, 어째서 이런 모순된 심리가 생겼는지, 그리고 시장 반응이 어디까지 갈지 정리해볼게요. 1 배경: 콜린스 발언과 시장 반응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의 발언(4월 11일~12일경)은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과 중국, 일본의 미 국채 투매로 흔들리던 시장에 일종의 ‘안정제’ 역할을 했어요. 주요 내용은:“시장 혼란이 심해지면 연준은 절대적으로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하.. 2025. 4. 13.
추락하는 미 증시의 구원자 연준 등판! 보스턴 연은 총재 "시장 혼란시 언제든 개입 준비 완료" FED PUT 오나? 트럼프가 몰고온 미국 증시의 하락장은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았죠. 지금 많은 분들이 계좌에 시름을 앓고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도 그러하고요 ㅠㅠ 그래도 주식 시장이 더 혼란에 빠지지 않은 건 연준의 역할이 컸다는 점이죠! 특히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의 발언이 시장 안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관측이 많죠. 파월 풋(Powell Put)은 더 없다고 했지만, 콜린스가 대신 나선 모양새로 보입니다. 그럼 콜린스의 발언과 이에 따른 미 증시 낙관론을 자세히 조사해서 정리해볼게요. 1 수잔 콜린스 발언의 주요 내용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최근(4월 11일~12일경) 시장 혼란 가능성에 대해 연준의 대응 준비를 강조하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다소 완화시켰습니다. 주요 발언은 다음과 같습.. 2025.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