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월풋3

연준이 트럼프와 충돌하는 이유는? 사실 연준 입장에선 관세분쟁이 굉장히 짜증나는 상황이거든요! 연준 입장에선 물가를 관리해야 하는데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이렇게 무식하게 매기면, 물가가 다이렉트로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금리를 인하하는게 아니라 인상을 해야할 수도 있거든요. 금리 인하를 해야할 시점에, 쓸데 없이 관세 분쟁으로 물가를 오히려 올리고 있으니 연준이 머리가 아픈 겁니다. 그래서 연내 금리 인하를 한번도 안할 수도 있게 된 거죠. 이렇게 두 기관의 입장이 다르니, 정책이 충돌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트럼프는 자기가 싸지른 똥은 생각 안하고, 연준더러 똥치우라 하는 상황이니까 미치는 거죠. 이게 연은 입장에선 진짜 트럼프가 짜증나겠다 싶은 부분입니다 ㅋㅋㅋ 아니 원래 유럽 주식 종목 소개해 드리려고 했는데, 시국이 시국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시황 탭 혼자 달리네요. 기왕.. 2025. 4. 22.
파월풋은 기대 못하는데, 연준풋은 기대한다? 모순된 시장의 반응과 그 이유를 알아보자 ‘파월 풋’은 기대 못하면서 ‘연준 풋’은 기대한다는 게, 어딘가 앞뒤가 안맞죠? 말이 안되잖아요? 보스턴 연은 총재 수잔 콜린스의 발언이 시장에 희망을 불어넣어서 미 증시가 낙관론으로 반등한 건 맞는데, 뭔가 시장이 동력으로 삼기엔 조금 부족하기도 하거니와, 모순된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죠. 그럼 이 상황 좀 더 깊이 파헤쳐보고, 어째서 이런 모순된 심리가 생겼는지, 그리고 시장 반응이 어디까지 갈지 정리해볼게요. 1 배경: 콜린스 발언과 시장 반응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의 발언(4월 11일~12일경)은 트럼프의 상호관세 정책과 중국, 일본의 미 국채 투매로 흔들리던 시장에 일종의 ‘안정제’ 역할을 했어요. 주요 내용은:“시장 혼란이 심해지면 연준은 절대적으로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하.. 2025. 4. 13.
더 이상 트럼프 풋은 없다, 연준의 최악 시나리오와 스테그플레이션의 역습 우선, 관세로 인해 일시적으로 물가 기대가 높아지면 물가가 올라가죠. 이걸 일시적인 인플레이션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이렇게 물가가 올라가면서 경기 성장이 둔화가 된다? 이걸 뭐라고 하냐면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해요. 이게 바로 연준이 걱정하는 최악의 시나리오 '스태그플레이션'입니다. 물가가 오르면서 경제 성장이 둔화되는 상황은 분명 연준 입장에서도 피하고 싶은 그림일 거예요. 사실은 이미 어느정도 예견이 되던 것인데,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지표가 급등하고 소비자 기대지수가 꺾이면서 나온 우려죠. 관세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치솟을 수 있다는 점도 시장에서 뜨거운 논쟁거리죠. 관세가 매년 올라가는 게 아니라 한 번 때리고 끝나는 성격이라면, 그로 인한 물가 상승은 '일회성 인플레이션'으로 .. 2025.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