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하는 캔따개 입니다.
제가 시황 및 정보 탭에 정보 말고 시황을 계속 올려드린다는 건 상황이 안좋다고 본다는 거라고 말씀드렸었죠? 이번엔 놀라울 정도로 급등입니다. 하지만 한 국가의 주가지수가 이렇게 급등하고 급락하는 게 맞나? 싶죠?
코인판도 아니고;;; 한 국가의 지수가 이렇게 급변하는 건, 결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좋지 않습니다. 이 상태로는 절대 안심할 수는 없어요.
이렇게 미장이 오른 이유도 90일간 10%로 관세유예를 해준다는 발표 때문인데, 트럼프가 채권 금리가 치솟는 걸 보고 기습 발표했단 말이 있어요. 발표할 때까지 측근들도 몰랐단 이야기죠.
저는 채권 금리가 급격히 치솟은 이유를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부과로 국가 신뢰도가 흔들려서라고 생각중이에요.
좀 더 풀어서 설명해보면, 트럼프가 관세를 강하게 밀어붙이면서 미국과 다른 나라들(특히 중국) 사이에 무역 갈등이 커졌어요.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미국 경제가 불안정해질 수 있겠다"거나 "무역 전쟁 때문에 글로벌 경제가 흔들리면 미국 국채가 안전 자산으로 덜 매력적일 수 있다"고 느낀 거죠.
실제로 2025년 4월 초에 미국 국채 금리가 많이 올랐어요. 10년물 국채 금리가 4.51%까지 갔고, 30년물은 5.02%까지 치솟았다는 기록이 있어요.
이건 투자자들이 국채를 팔거나,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면서 생긴 현상이에요. 관세 부과로 물가가 오르고 기업 이익이 줄어들까 걱정하다 보니, 미국의 재정 상태나 신뢰도에 대한 의문이 커진 거예요.
특히 중국이 국채를 조금씩 팔 가능성이 있다는 소문도 금리 상승에 기름을 부었을 수 있고요.
그렇다고 완전히 "국가 신뢰도" 하나만으로 금리가 오른 건 아니에요. 무역 전쟁의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우려, 그리고 연준(미국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도 같이 얽혀 있어요.
하지만 미국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시장에 충격을 주고 국채에 대한 수요와 신뢰를 흔든 게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볼 수 있어요.
주가 급등의 주요 포인트 분석
-
나스닥이 12% 넘게 오른 건 트럼프가 중국을 뺀 나라들에 대해 90일간 관세를 유예하고 10% 관세만 부과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에요.
-
중국은 미국의 관세에 맞서 84%까지 관세를 올리며 강하게 대응하고 있어요. 이건 거의 ‘멸망전’ 수준이에요.
-
트럼프는 중국이 무역 흑자로 미국 국채를 사서 이익을 본다고 주장하는데, 사실 일본이 중국보다 더 많은 미국 국채를 가지고 있어요.
- 세계 각국이 금융으로 묶여있는 상황이라 매우 복잡한 상황이에요. 장기적으로 무역 전쟁이 세계 경제에 큰 악영향을 줄 수 있어요.

누누히 말씀드렸지만 이런 증시 급등은 급락만큼 좋지 않습니다. 그만큼 장 상황이 패닉에 빠진 상태란 이야기거든요.
멸망전으로 치닫고 있는 미중 관세 전쟁 타임라인
1. 시장 반응과 관세 유예
2. 미국-중국 무역 전쟁
3. 미국 국채와 트럼프의 주장
시장과 무역 상황에 대한 자세한 분석
1. 관세 유예와 시장
2. 미국-중국 갈등 심화
3. 국채 보유와 중국의 전략
4. 앞으로의 전망
표 : 미국 국채의 주요 보유국과 보유량 비교 (2025년 1월 기준)
나라
|
보유액 (억 달러)
|
일본
|
10,790
|
중국
|
7,608
|
영국
|
6,683 (2023년 기준)
|
기타
|
나라마다 다름
|
결론
나스닥이 오른 건 관세 유예 덕분이에요. 하지만 중국과의 무역 전쟁은 계속 심해지고 있고, 국채 문제도 복잡하게 얽혀있어요. 아직은 일본이 중국보다 국채를 더 많이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의 주장이 완전히 맞진 않네요.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두고 봐야겠지만, 중국으로 인해 트럼프의 막무가내 행동에 제동이 걸린 상태에요. 세상에, 제가 중국을 응원하게 되는 날이 올 줄이야...!
중국이 강경하게 맞대응 하면서 미국이 일방 관세 폭탄을 90일간 유예하게 되었죠. 하지만 완전히 협상이 끝나지 않았어요. 중국이 물러서면 다시 관세를 얼마든지 올릴 위인이기 때문에 안심하기엔 일러요
-
오늘의 리빙 포인트 : 미국과 중국의 주변국가인 우리나라 상황에선 줄타기를 잘해야한단 얘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