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미장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주린이라면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저도 작년 말부터 중국 투자하면서 알게 된 거거든요.
아무튼 트럼프가 이 ADR을 규제한다고 하는데,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도 않고, 이게 뭔지도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한번 집고 넘어가려고 해요. 그럼 ADR이 뭔지에 대해서 조사하고, 트럼프 정부의 규제책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께요.
1. ADR이란 무엇인가?
ADR은 미국 외 국가에 본사를 둔 기업의 주식을 미국 증권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금융 상품입니다. 미국 투자자들이 외국 주식을 쉽게 사고팔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미국 예탁 은행(예: Citibank, JPMorgan)이 외국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고 그에 상응하는 예탁 증권을 발행합니다.
-
구성: ADR은 보통 외국 기업의 주식(예: 보통주)을 일정 비율로 묶어서 발행됩니다. 예를 들어, 알리바바의 경우 1개의 ADR이 8개의 보통주를 입니다.
-
거래 방식: ADR은 뉴욕증권거래소(NYSE)나 나스닥 같은 미국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되며, 달러로 가격이 책정됩니다.
-
목적: 미국 투자자들이 환율 변동이나 외국 증권 계좌 개설의 번거로움 없이 외국 기업에 투자할 수 있게 하는 용도입니다.
2. ADR 주식의 특징
ADR에는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이 있습니다:
유형:
-
Level 1: 장외시장(OTC)에서만 거래되며 규제가 덜 엄격함(예: Tencent ADR, TCEHY).
-
Level 2 및 Level 3: NYSE나 나스닥 같은 주요 거래소에서 거래되며,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 보고 의무가 있음(알리바바는 Level 3).
투자자 권리:
ADR 보유자는 배당금을 받을 수 있지만, 주주 투표권은 보통 예탁 은행이 대신 행사합니다.
투자 위험:
외국 기업의 본국 규제나 정치적 리스크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예: 중국의 규제 변화가 알리바바 주가에 영향을 미침).
3. ADR 주가가 결정되는 원리
ADR의 주가는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기본적으로 외국 주식의 본국 시장 가격과 밀접하게 연동됩니다. 알리바바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1) 본국 주식 가격과의 연계
-
알리바바는 홍콩 증권거래소(HKEX)에도 상장되어 있으며, 주식 코드 9988로 거래됩니다. 홍콩에서 거래되는 주식은 홍콩달러(HKD)로 표시되고, ADR은 미국에서 달러(USD)로 거래됩니다.
-
환율 조정: ADR 가격은 홍콩 주식 가격을 환율(USD/HKD)로 변환한 후, ADR과 보통주의 비율(1:8)을 반영해 결정됩니다.
-
예: 홍콩에서 알리바바 주식 1주가 200 HKD이고, 환율이 1 USD = 7.8 HKD라면, 1주 가격은 약 25.64 USD. ADR은 8주를 나타내므로 25.64 × 8 = 약 205.12 USD가 됩니다.
-
-
실제 사례: 2025년 3월 5일 기준, 알리바바의 ADR 가격은 NYSE에서 약 100~120 USD 사이에서 움직이고 있는데, 이는 홍콩 주가와 환율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2) 시장 수요와 공급
-
ADR 가격은 본국 주식 가격에 기반하지만, 미국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약간의 프리미엄이나 디스카운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미국 투자자들이 알리바바에 대해 낙관적이라면 ADR 가격이 홍콩 주가보다 살짝 높게 거래될 수 있습니다(프리미엄). 반대로 비관적이면 디스카운트가 붙을 수 있습니다.
(3) 외부 요인의 영향
-
기업 실적: 알리바바의 매출, 수익성, 클라우드 사업 성장 등 펀더멘털이 주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규제 리스크: 중국 정부의 기술 기업 규제(예: 2020년 앤트 그룹 IPO 중단 사태)는 알리바바 주가에 큰 변동성을 초래했습니다.
-
글로벌 경제: 미국 금리 인상, 달러 강세 등은 ADR 가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시간 차와 정보 반영
-
홍콩과 미국의 거래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홍콩 장 마감 후 발표된 뉴스(예: 실적 보고서)가 미국 장에서 ADR 가격에 반영되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4. 알리바바 ADR(BABA)를 예시로 한 분석
알리바바 개요
-
상장: 알리바바는 2014년 NYSE에 ADR로 상장되었고, 2019년 홍콩 증권거래소에도 2차 상장했습니다.
-
비율: 1 ADR = 8 홍콩 보통주.
-
현재 주가(2025년 3월 5일 기준): 정확한 실시간 주가는 제공할 수 없지만, 최근 트렌드에 따르면 약 100~120 USD 사이로 추정됩니다(실제 데이터 확인 필요).
주가 결정 예시
-
홍콩 주가: 가정하자면, 홍콩에서 알리바바 주식 1주가 100 HKD라고 해봅시다.
-
환율 적용: 1 USD = 7.8 HKD라면, 1주 = 12.82 USD.
-
ADR 가격: 1 ADR은 8주를 나타내므로, 12.82 × 8 = 약 102.56 USD.
-
시장 조정: 미국 투자자들이 알리바바에 낙관적이면 105 USD로 프리미엄이 붙을 수도 있고, 비관적이면 100 USD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최근 동향
-
알리바바는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의 거대 기업으로, 타오바오(Taobao)와 티몰(Tmall)이 주력입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중국 정부의 반독점 규제와 경쟁사(예: Pinduoduo, Douyin)의 부상으로 주가가 압박을 받았습니다.
-
2025년 들어 클라우드 사업 성장과 비용 절감으로 주가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5. ADR의 장단점
장점
-
미국 투자자 입장에서 접근성 향상.
-
환율 변동 걱정 없이 투자 가능.
-
배당금도 달러로 지급.
단점
-
본국 리스크(중국 규제 등)에 노출.
-
투표권 제한으로 소액 투자자의 영향력 감소.
-
홍콩 주가와 ADR 가격 간 괴리가 생길 수 있음.
6. 결론
ADR 주가는 본국 주식 가격, 환율, 시장 수요·공급, 그리고 외부 요인(실적, 규제 등)이 결합되어 결정됩니다.
예컨데 알리바바의 경우, 홍콩 주식(9988)의 가격을 기반으로 하여 환율과 1:8 비율로 계산된 후, 미국 시장의 투자 심리에 따라 조정됩니다. 알리바바 ADR은 중국 경제와 글로벌 투자 트렌드를 반영하는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또한 현재 알리바바 주가 ADR은 홍콩 본주에 비해 -2%정도 할인된 금액입니다. 이건 저렴하게 홍콩 본주에 투자할 수있다는 장점이 될 수 있겠지요?

그럼 트럼프 정부의 ADR 규제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ADR(미국 예탁 증권, American Depositary Receipt)의 규제는 미국 증권 시장에서 거래되는 특성상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감독 아래 이루어집니다.
ADR의 규제 세부사항은 발행 유형(Level 1, Level 2, Level 3)에 따라 다르며, 각 유형마다 요구되는 보고 의무와 규제 수준이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세부사항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1. ADR의 기본 규제 프레임워크
ADR은 외국 기업이 미국에서 자본을 조달하거나 투자자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발행되므로, 다음과 같은 주요 규제 기관과 법률이 적용됩니다:
-
SEC(증권거래위원회): ADR 발행 및 거래를 감독하며, 투자자 보호와 시장 투명성을 보장.
-
1933년 증권법(Securities Act of 1933): 증권 발행 시 등록 요건을 규정.
-
1934년 증권거래법(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 상장 후 지속적인 정보 공개 의무를 규정.
-
예탁 은행: ADR을 발행하는 은행(예: Citibank, JPMorgan)이 SEC 규정을 준수하며 중개 역할을 수행.
2. ADR 유형별 규제 세부사항
ADR은 세 가지 레벨로 나뉘며, 각 레벨마다 규제 요구사항이 다릅니다.
(1) Level 1 ADR
-
거래 장소: 장외시장(OTC, Over-The-Counter)에서 거래됨. 예: OTCQX, OTCQB.
-
규제 수준: 가장 낮은 수준의 규제.
-
등록 요건:
-
SEC에 Form F-6를 제출해 ADR 프로그램을 등록해야 함.
-
그러나 미국 GAAP(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 원칙)에 따른 재무제표 제출은 요구되지 않음.
-
-
보고 의무:
-
Rule 12g3-2(b) 면제 조항을 활용해, 본국에서 공개된 정보를 영어로 제공하면 됨(예: 연례 보고서, 보도 자료 등).
-
정기적인 SEC 보고서(10-K, 10-Q 등)는 제출 불필요.
-
-
특징: 주로 소규모 외국 기업이 미국 시장에 진입할 때 사용. 투자자 접근은 제한적이며 유동성이 낮음.
-
예시: Tencent(OTC: TCEHY).
(2) Level 2 ADR
-
거래 장소: NYSE나 나스닥 같은 주요 증권 거래소에서 거래.
-
규제 수준: 중간 수준의 규제.
-
등록 요건:
-
SEC에 Form 20-F를 제출해 등록해야 함.
-
미국 GAAP에 맞춘 재무제표를 제공하거나, IFRS(국제 재무 보고 기준)를 사용하되 GAAP와의 조정을 포함해야 함.
-
-
보고 의무:
-
연례 보고서(Form 20-F)를 매년 제출.
-
주요 사건 발생 시 Form 6-K를 통해 보고(예: 실적 발표, 경영진 변경 등).
-
그러나 분기별 보고서(10-Q)나 미국 기업 수준의 상세 공개는 요구되지 않음.
-
-
특징: 미국 투자자들에게 더 높은 신뢰를 주지만, 발행 기업은 추가적인 규제 준수 비용을 감당해야 함.
-
예시: Nokia(NYSE: NOK).
(3) Level 3 ADR
-
거래 장소: NYSE, 나스닥 등 주요 거래소.
-
규제 수준: 가장 높은 수준의 규제.
-
등록 요건:
-
SEC에 Form F-1을 제출해 공모를 등록(공개 모집 시).
-
Form 20-F로 상장 후 지속적인 등록 유지.
-
미국 GAAP에 따른 재무제표 제출 필수(또는 IFRS와 GAAP 조정).
-
-
보고 의무:
-
Level 2와 동일하게 연례 보고서(Form 20-F)와 주요 사건 보고서(Form 6-K) 제출.
-
공모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므로 초기 발행 시 더 엄격한 정보 공개 요구.
-
-
특징: 미국에서 자본 조달을 목적으로 하며, 가장 높은 수준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제공. 알리바바(BABA)는 Level 3 ADR로 상장.
-
예시: Alibaba(NYSE: BABA), Petrobras(NYSE: PBR).
3. 추가 규제 세부사항
(1) 외국 기업 면제 조항
미국 상장 기업과 달리 ADR 발행 기업은 **Foreign Private Issuer(FPI)**로 분류되며, 일부 규제가 완화됩니다:
-
분기별 보고서(10-Q) 대신 연례 보고서(20-F)만 제출.
-
미국 내부자 거래 규제(Sarbanes-Oxley Act의 일부 조항)에서 부분 면제.
(2) 예탁 계약(Depositary Agreement)
-
ADR 발행 시 외국 기업, 예탁 은행, 투자자 간의 계약이 체결되며, 이는 SEC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
계약 내용: 배당금 지급 방식, 투표권 대리 행사, 수수료 구조 등.
(3) 환율 및 세금
-
ADR 투자자는 배당금을 달러로 받지만, 본국 세금(예: 중국의 배당 소득세)이 원천징수될 수 있음.
-
예탁 은행은 환율 변환 및 세금 처리를 담당하며, 이는 ADR 가격에 간접적으로 반영됨.
(4) 본국 규제와의 상호작용
-
ADR 발행 기업은 본국 증권 규제도 준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알리바바는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와 홍콩 증권거래소(HKEX) 규정을 따라야 하며, 이는 미국 규제와 충돌할 수 있음(예: VIE 구조 논란).
4. 알리바바(BABA)와 규제 사례
알리바바는 Level 3 ADR로 NYSE에 상장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규제 세부사항이 적용됩니다:
-
SEC 보고: 매년 Form 20-F를 제출하며, 2023년 보고서에는 클라우드 사업 매출, 반독점 벌금 등 상세 내용 포함.
-
중국 규제: 2020년 중국 정부의 반독점 조사로 주가가 급락했으며, 이는 Form 6-K를 통해 미국 투자자들에게 공개됨.
-
VIE 구조: 알리바바는 가변 이익 실체(Variable Interest Entity)를 통해 중국 내 사업을 운영하는데, 이는 SEC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됨. SEC는 VIE 관련 추가 정보 공개를 요구하기도 함.
5. 규제의 장단점
장점
-
투자자 보호: 재무제표 공개와 SEC 감독으로 투명성 확보.
-
시장 신뢰: Level 2, 3 ADR은 미국 상장 기업 수준의 규제를 받으며 신뢰도 상승.
단점
-
비용 증가: GAAP 조정, 보고서 작성 등으로 기업의 규제 준수 비용이 높아짐.
-
이중 규제: 본국과 미국의 상이한 규제 준수로 복잡성 증가.
캔따개의 결론
한마디로 해외의 주식을 미장에서 거래하기 편하게 동시상장 형식으로 올린거라고 보면 되요!
ADR의 규제는 발행 레벨에 따라 다르며, Level 1은 최소한의 규제, Level 2와 3은 점차 엄격한 보고 및 투명성 요건을 요구합니다. 알리바바와 같은 Level 3 ADR은 SEC의 높은 기준을 충족하며 미국에서 자본을 조달하지만, 중국 본국의 규제 리스크와도 맞물려 복잡한 환경에 놓여 있지요.
예컨데 최근에는 홍콩 본장에서 오르면 나스닥이 빠지면서 주가가 빠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죠.
최근 중국의 테크 기업들이 무섭게 성장을 하고 있지만 아직도 저평가 중이죠. 아무튼 이런 지정학적인 리스크를 감수하고라도 투자해볼만한 가치는 있다고 생각해요.